정의 : 통화를 교환(swap)한다.
서로 다른 통화를 약정된 환율에 따라서 일정한 시점에 상호 교환하는 외환거래
목적 : 상대국의 통화를 활용해서 안정적인 환율을 유지
원래는 파생상품의 한 종류

두 나라가 자국 통화를 상대국 통화와 맞교환하는 방식이다.

IMF(국제통화기금)에서 자금을 지원받을 경우, 통제와 간섭, 경제주권의 훼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통화스왑은 안정적으로 외화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

최초의 국가간 통화스왑은 

1959년 미국과 독일연방은행
20152월 일본과의 통화스왑은 중단
우리나라는 2001-2012년까지 일본과20- 700억달러, 중국과 560억 달러, 치앙마이 이니셔팁므 기금(CMIM)384억 달러의 통화스왑을 맺고 있다.
20081030일에는 미국과 300억 달러 규모의 통화스왑체결.-20102월 종료

국가간 통화스왑의 단점

 

통화스왑을 상환 또는 변제할 경우, 최초 계약시에 정한 환율을 적용
한국과 일본이 통화스와프 협정을 맺고 있을 때, 한국에 외환위기가 발생해 외환보유고가 바닥났다면 일본에서 엔화를 빌려오면서 원화를 일본에 담보로 맡긴다. 이후 변제할 땐 통화스와프 협정 당시의 환율을 적용해 시세변동 위험을 피할 수 있다.
1971년 미국과 독일이 국가간 장기스왑협정 체결후, 닉슨이 미국의 금태환 중지선언으로 달러가치는 폭락하고, 마르크화 가치는 급등à

  1970년 환율 : 1달러당 2마르크

1975        : 1달러당 1마르크
독일은행- 10억달러 스왑계약을 상환하기 위해서는 20억마르크가 필요.1975상환시에는 10억마르크로 상환가능
미국은행- 10억마르크를 상환하기 위해서는 5억달러가 필요, 1975상환시에는 10억달러가 필요해서 결국 손실발생.
Posted by Jason syngeun lee
,

Oeconomicus 에서 오이코는 집을 의미하고 노미(norm)는 법이나 지배를 의미한다. 이는 오로지 가정관리에 대한 실제적인 지혜만을 의미한다. 한편 아리스토텔레스는 크레마티스틱스(Chermatistics)를 명칭을 사용하는데, 이는 그가 오이코노미쿠스와는 반대의 의미로 사용했다. 즉 오이코노미쿠스가 도시국가인 공동체에 필요한 물자를 공급하는 것이라는 의미로서 파악하고 있었고, 크레마티스틱스는 사익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 정우 교수는 크레마티스틱스를 '이재'로  사용했다. 전자가 공동의 이익을 위한 선(善)을 의미하면, 후자는 공동의 이익에 배치되는 악(惡)을 의미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런 이유로 경제행위를 정치철학이나 사회철학의 하위범주로 설정했다.  

왼쪽이 플라톤 오른쪽이 아리스트 텔레스

 

크레마티스틱스는 주로 영업행위의 금전적 측면을 지칭할 뿐이다.

그러나 이정우 교수의 지적처럼,  오늘날에는 경제학이 오히려 이재에 관한 학문이 되어 버렸다. 경제학의 원래 단어인 오이코노믹스를 생각하면 더더욱 그런 생각이 굳혀진다.  "공동의 이익을 위한 선"

아리스토텔레스는 중세 사상의 기초가 바로 이 두개간의 차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화폐의 축적(돈을 긁어모으는 것) 그 자체가  비자연스러운 활동이며 이는 그렇게 행동하는 사람들이 비인간화가 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재화구매를 위한 화폐, 무역거래 내지는 교환 그리고 고리대금은 화폐로부터 화폐를 창출하지만 유용한 재화를 생산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플라톤과 마찬가지로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들의 철학윤리의 준거점으로부터 이들 활동을 비난한다.

Posted by Jason syngeun lee
,

 

주류경제학

마르크스 & 스라파

경제문제

희소한 자원의 효율적 배분

경제적 잉여의 재생산

경제 결정

일차적으로 개인(소비자,생산자)에 의해 결정

개인이 속한 제도와 구조 내지는 계급집단의 수준에서 결정

자본에 대한 시각

이질적인 자본재들을 생산시점 이전에 미리 주어진 합산가능한 물리적인 양(사전적 부존량)

자본을 역사적으로 변천하는 관계

마르크스: 자본은 물리적인 존재이전에 자본가계급과 노동자계급간의 적대적인 사회관계로 파악

문제점

자본량= 자본총가격 ×이윤율(평균적 자본소득)

 

-그러나 이윤율이 변하면 자본량도 변화한다. 그래서 주어진 자본량과 이윤율간의 고정된 함수관계를 도출할 수 없다.

스라파: 이질적인 상품(자본재)으로 생각하는 동시에, 자본재를 다른 상품의 생산에 투입되는 상품으로 간주, 즉 이질적인 상품간의 투입-산출관계에 따라 상품 및 자본재가격이 정해진다.

 

자본의 양을 가격으로 계산

이윤을 자본의 한계생산물로 설명한다. 하지만 자본을 가격단위로 합산할 때 주어진 자본량의 한계생산물로 이윤의 크기를 설명한다.

그 자본량은 또 그 이윤의 함수- 순환논법에 빠짐.

 

Posted by Jason syngeun lee
,